본문 바로가기

지식/프로젝트 관리 및 생성

“이 정도만 알면 프로젝트관리 할 수 있다!”

이 정도만 알면 프로젝트관리 할 수 있다!

 

1. 프로젝트 단계 및 단계별 주요업무를 정의한다

가.     

 

 

 

나.     

 

 

 

다.     

 

 

 

.

 

 

 

2. 프로젝트 개발계획에 포함될 주요업무를 정의한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프로젝트관리 분야를 정의한다

 

 

 

 

 

4. 프로젝트관리 분야별 주요업무를 정의한다

.

 

 

 

 

.

 

 

 

.

 

 

 

.

 

 

 

.

 

 

 

 

5. WBS를 작성한다

가.   WBS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정의한다

 

 

 

나.   PBS를 작성한다(코드 포함, 개발업무 또는 시스템 기준)

 

 

 

 

 

다.   FBS를 작성한다(코드 포함, 방법론 기준)

 

라.   WBS를 작성한다(코드포함, PBS + FBS) : 별첨 양식 참조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6. 일정표를 작성한다

   . Activity 코드체계를 정의한다

가.   Activity 목록을 작성한다: 별첨 WBS 양식 참조

나.   Activity 순서를 정의한다

다.   Activity 기간을 산정한다

마.   일정관리 S/W에 입력한다

 

7. 가중치 부여

가.    기준자료를 확보한다

 

 

 

나.    가중치 산정 항목을 정의한다

ㅇ 단계별

-

-

-

-

-

 

PBS

-

-

-

-

 

FBS

-

-

-

-

 

ㅇ 계약자별(필요시)

 

 

 

 

WBS

 

 

 

 

8.계약자 업무수행계획의 주요항목을 정의한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9. 외주관리의 주요단계를 정의한다

 

 

 

 

 

10. 형상관리의 주요항목을 정의한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이 정도만 알면 프로젝트관리 할 수 있다!

 

1. 당해 프로젝트 단계를 정의한다

ㅇ 착수 단계

ㅇ 계획 단계

ㅇ 분석/설계 단계

ㅇ 구현/시험단계

 

2. 프로젝트 단계별 주요업무를 정의한다

라.    계획단계

ㅇ 개발대상 정의(시스템 분석)

    ㅇ 프로젝트 단계별 산출물(개발방법론 분석)

    ㅇ 조직 구성

    ㅇ 개발계획 수립

    ㅇ 개발표준 수립

    ㅇ 프로젝트관리방안

    ㅇ 프로젝트관리 지침/절차 수립(용어, 프로세스별 절차, 관리양식,

 책임 등)

    WBS 작성

    ㅇ 일정계획 수립

    ㅇ 계약체결(원도급, 하도급)

마.    분석/설계단계

ㅇ 프로젝트관리 세부 시스템 개발(프로그램관리, 통합정보관리 등)

    ㅇ 프로젝트 추진현황 확인 및 보고(주간,월간)

    ㅇ 문제점 현황 파악 및 조치결과 보고

    ㅇ 형상관리 계획 수립 및 시행

    ㅇ 기성대가 청구/지급 조치

바.    구현/시험단계

ㅇ 프로젝트 추진현황 확인 및 보고

ㅇ 문제점 현황파악 및 조치결과 보고

ㅇ 시험개념 정립 및 계획 수립

ㅇ 시험결과 보고

ㅇ 프로젝트 문서 현행화

ㅇ 기성대가 청구/지급 조치

 

3. 프로젝트 개발계획에 포함될 주요업무를 정의한다

   프로젝트 범위

시스템 구축방안

주요추진 일정

추진 조직

방법론 적용

프로젝트관리 계획

시험 계획

교육 기술 이전

유지보수계획

업무전환

4. 프로젝트관리 분야를 정의한다

ㅇ 범위관리(WBS 정의)

ㅇ 일정관리

ㅇ 원가관리

ㅇ 의사소통관리

ㅇ 품질관리

ㅇ 외주관리

ㅇ 형상관리

5. 프로젝트관리 분야별 주요관리 업무를 정의한다

가.    범위관리

WBS 정의 및 변경관리

ㅇ 프로젝트 번호체계

나.    일정관리

CPM 방식의 일정표 작성

ㅇ 진도관리

ㅇ 지연일정관리

다.    원가관리

ㅇ 예산 대비 집행실적관리(상위레벨)

ㅇ 기성관리

. 의사소통관리

    ㅇ 통합정보광리

    ㅇ 산출물관리

. 품질관리

    ㅇ 품질관리

    ㅇ 품질보증

사.    외주관리

ㅇ 협력업체 선정 및 계약

ㅇ 계약관리

아.    형상관리

ㅇ 산출물에 대한 형상관리

6. WBS를 작성한다

   . WBS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정의한다

ㅇ 개발계획서

ㅇ 제안서

ㅇ 시스템 구조도

ㅇ 개발방법론

ㅇ 프로젝트 조직

ㅇ 통합정보관리 개념

PBS를 작성한다(코드 포함)

   ㅇ 별지에 시스템 분류체계 작성

. FBS를 작성한다(코드 포함)

   ㅇ 프로젝트 단계별 산출물 분류(개발방법론 기준)

라.    WBS를 작성한다(코드포함) : 별첨 양식 참조

7. 일정표를 작성한다

   . Activity 코드체계를 정의한다 : 별지 참조

라.   Activity 목록을 작성한다: 별첨 WBS 양식 참조

마.   Activity 순서를 정의한다

바.   Activity 기간을 산정한다

마.    일정관리 S/W에 입력한다

8. 가중치 부여

가.  기준자료를 확보한다

ㅇ 분야별 계약금액 관련자료

   ㅇ 시스템별 프로그램 본수

   ㅇ 업무량 추정관련 자료(관련분야 전문가 초청)

나.  가중치 산정 항목을 정의한다

ㅇ 단계별

- 계획단계

- 분석단계

- 설계단계

- 구현단계

- 시험단계

PBS

- 6. 나 참조

FBS

- 6.다 참조

WBS

   - WBS 참조

9.계약자 업무수행계획의 주요항목을 정의한다

    용역의 개요(목적, 범위)

    프로젝트 단계별 추진조직  역할

    개발부문

    시스템 구성도

    용역수행방법

    개발산출물

    사업관리

    품질관리, 형상관리, 위험관리, 진도/업무보고, 업무추진일정, 하자보수

    별첨

- 추진일정계획, 필수인력 이력사항, 인력투입계획서, 계약자시행

공정표, 품질보증계획서, 형상관리계획서, 산출물작성 지침서

10. 외주관리의 주요단계를 정의한다

    ㅇ 업무선정(구매대상 선정)

    ㅇ 서비스 제공자 선정(제안요청 및 제안)

    ㅇ 계약 및 서비스 이전(계약자 선정 및 계약업무 수행)

    ㅇ 계약관리(서비스 확인 및 대가 지급)

    ㅇ 계약전환(계약종료)

11. 형상관리의 주요항목을 정의한다

    ㅇ 형상관리 계획 수립

 ㅇ 형상식별(Baseline 설정) 및 식별번호체계 정의

  Repository 설정

 ㅇ 형상관리(형상관리 도구 활용)

 ㅇ 형상통제 및 감사

 ㅇ 형상기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