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ap 8. Project Quality Management
프로젝트 품질 관리는 프로젝트가 수행해야 할 요구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
프로세스를 포함함. 이는 품질정책, 목적 및 책임을 결정하고, 품질 계획, 품질 보증, 품질 통제, 품질 향상 등을 통하여 그것들을 구현하는 총체적인 관리기능의 활동임
8.1 품질 기획 (Quality Planning) : 품질표준을 정의하고, 품질표준을 만족시킬 방법을 결정함
8.2 품질 보증 (Quality Assurance) : 관련된 품질표준을 만족시킬 것이라는 신뢰를 주기 위해,
정기적으로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함
8.3 품질 통제 (Quaility Control) : 프로젝트 결과가 관련 품질표준을 따르는지 모니터링하고,
불만족한 성과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냄
품질관리의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국제표준기구(ISO)의 표준을 충족하게 되어 있음.
- 독점적개념의 접근방법 : Deming, Juran, Crosby 의 품질관리
(Deming - 관리의 중요성, Juran - 사용적합성, Crosby - 무결점)
- 비독점적개념의 접근방법 : 총체적 품질관리(TQM, Total Quality Management), 지속적개선
프로젝트 품질관리는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 뿐만 아니라, 프로젝트의 제품에 대한 관리를 포함해야 함. 품질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면, 이해관계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할 수 있음
품질이란 명시적, 암묵적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, 개체가 가져야하는 총체적인 특징임. 명시적, 암묵적인 요구는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개발하기 위한 입력이 됨(프로젝트 범위관리를 통해, 명시적, 암묵적인 요구가 요구사항으로 바뀜)
품질과 등급
- 등급 : 용도는 동일하나, 다른 기술적 특성을 가진 것에 주어지는 순위를 의미함
- 높은 품질&낮은 등급 : 버그없고, 매뉴얼이 좋으나(높은 품질) 기능이 제한적임(낮은 등급)
- 낮은 품질&높은 등급 : 버그많고, 매뉴얼 빈약(낮은 품질), 기능이 다양함(높은 등급)
- 품질과 등급의 수준을 결정하고 제공하는 것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관리팀의 책임임
최근의 품질관리는 프로젝트 관리를 보완하는 것임
프로젝트관리와 품질관리는 다음 사항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함
- 고객만족 : 고객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, 요구사항을 이해/관리하고, 영향력을 발휘함
이는 요구사항과 사용적합성(fitness for use)의 조화를 요구함
- 검사를 통한 사전방지 : 발생된 오류를 수정하는 비용보다, 방지하는 비용이 적게 듬
- 관리책임 : 프로젝트 성공은 모든 팀원들의 참여를 요구하나, 성공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하는
관리의 책임을 남김
- 단계 내의 프로세스 : 데밍 등에 의해 기술된 PDCA(Plan-Do-Check-Act) 순환은 단계와
프로세스의 조합과 비슷함
§ 프로젝트는 한시적인 특성을 가지므로, 제품 품질향상에 대한 투자, 특히 결함예방 및 평가는
수행조직이 감당할 수 있는 정도에 국한되어야 함
(품질개선에 투자한 비용을 보상받을 만큼 기간이 길지 않음)
8.1 품질기획
: 품질 표준이 프로젝트에 적절한지 식별하고 그것을 어떻게 만족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함. 다른 프로젝트 기획 프로세스들과 함께 규칙적이고 병렬로 수행됨. (예: 품질표준에 맞추기 위해 제품을
변경하면, 비용 또는 일정을 조정하거나, 상세한 위험분석을 필요로 할 수 있음)
※ 현대 품질 관리의 기본원칙
품질은 검사되는 것이 아니라, 계획되는 것임 (Quality is planned in, not inspected in)
ⓐ Inputs
* 품질정책 : 최고 경영진이 공표한 품질에 대한 조직의 전반적인 의지 및 방침을 의미함. 대개
수행조직의 품질정책이 프로젝트에 적용되나, 수행조직의 품질정책이 부족하거나 다수의
수행조직으로 프로젝트가 이루어질 경우, 해당 프로젝트를 위한 품질정책을 개발함. 프로
젝트 관리팀은 해당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품질정책을 인지시켜야할 책임이 있음
* 범위명세서 : 프로젝트 목적과 프로젝트의 주요산출물을 포함함
* 제품명세 : 범위명세서에 포함되지 않은 품질계획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문제 및 관련
상세내역을 포함함
* 표준 및 규정/규제(Standared anc regulation) :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
* 타 프로세스의 출력 : 범위명세서와 제품명세 외 다른 지식분야 프로세스의 출력
(예: 조달계획수립 => 계약자 품질 요구사항을 정의함)
ⓑ Tools & Techniques
* 이익/원가분석(Benefit/Cost Analysis) : 이익과 원가의 Trade-off를 고려해야 함
- 품질관리의 이익 : 적은 재작업, 높은 생산성, 적은 비용, 이해관계자 만족의 증대
- 품질관리의 비용 : 프로젝트 품질관리 활동에 소요된 비용
(이익이 원가를 능가해야 함)
* 벤치마킹(benchmarking) :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고 성과 측정의 기준을 제공하
기 위해 다른 프로젝트와 비교함
* 순서도작성(flowcharting) :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
다이어그램임. 어떤 품질 문제가 어디서 발생할지 예상하고, 그 문제를 다루는 접근방법을
결정하는데 도움을 줌
- 원인 및 영향도표(Cause-and-effect diagram, Ishikawa / Fishbone Diagram)
: 얼마나 다양한 요인들이 잠재적 문제 또는 영향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줌
- 시스템/프로세스 흐름도 : 얼마나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줌
* 실험계획법(Design of experiments) : 어떤 요소가 특정변수에 영향을 줄 것인지 결정하기
위한 통계적인 기법. 프로젝트 제품에 대해 자주 적용되나, 시간/비용의 Trade-off와 같은
프로젝트 관리이슈에도 적용할 수 있음 (예: 숙련기술자/초급기술자의 조합에 따른 프로젝
트 비용/기간)
* 품질원가 : 제품/서비스의 품질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모든 노력의 전체 원가. 요구사항의 일
치를 보증하는 모든 작업뿐만 아니라 요구사항에 대한 불일치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작업 비
용을 포함함. 예방 비용(prevention costs), 평가 비용(appraisal costs), 실패 비용(failure c
osts)이 있으며, 실패 비용은 내부 비용(internal costs)과 외부 비용(external costs)로 구분
ⓒ Outputs
* 품질관리계획 : 품질 정책을 어떻게 구현할지를 기술함. ISO 9000 용어로는 프로젝트 품질 시
스템(project quality system : 품질 관리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조직 구조, 책임, 절차, 프로
세스, 자원 등)을 기술함. 전체 프로젝트 계획에 입력이 되며, 품질보증, 품질통제 및 개선에
적용됨
* 운영상의 정의 : 품질통제 프로세스에 의해 무엇이, 어떻게 측정되는지를 기술함
메트릭(metric)이라고도 불리움
* 점검표(checklists) : 필요한 단계들이 수행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화된 도구.
명령문(‘이것을 해라!’) 또는 의문문(‘이것을 수행하였는가?’)의 문장을 사용함. 빈번히 수행
되는 작업의 일관성을 보증하기 위해, 표준화된 점검표를 갖는 것이 좋음
*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
8.2 품질보증
: 프로젝트가 관련된 품질 표준을 만족한다는 확신을 제공하기 위해, 품질체계내에서 행해지는
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수행됨. 품질 보증은 품질 보증 부서 에 의해 주로 수행되나,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. 품질 보증은 프로젝트 관리팀 또는 수행 조직의 관리자(내부 품질 보증)나, 고객 또는 프로젝트 작업에 포함되지 않은 제3자(외부 품질 보증)에게 제공됨
ⓐ Inputs
* 품질관리계획 : 8.1의 Output
* 품질통제 측정 결과 : 비교분석 형식의 품질통제시험(Quality Control Testing) 및 측정기록
* 운영상의 정의 : 8.1의 Output
ⓑ Tools & Techniques
* 품질기획의 도구 및 기법
* 품질감사(Audit) : 품질 관리 활동들의 체계적인 검토임. 품질 감사의 목적은 수행 조직 내의
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훈을 만들어 내는 데 있음. 계획되거나 임의로 수행될
수 있으며, 조직내에 적절히 훈련된 감사자나 품질 시스템 등록 에이전시들과 같은 제3자에
의해 수행될 수 있음
ⓒ Outputs
* 품질개선 : 이해관계자들에게 추가적인 이익을 제공하기 위해 효과(effectiveness)와 효율(ef
ficiency)을 증가시키는 행동을 의미함. 변경요청에 대한 준비 또는 시정조치 수행을 필요로
함
8.3 품질통제
: 프로젝트 결과가 적절한 품질 표준에 부합하는가를 감시하고 불만족스러운 결과의 원인을 제거
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프로젝트 결과를 모니터링함.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수행되며 프로젝트결
과는 산출물과 같은 제품 결과물, 비용 및 일정 성과와 같은 프로젝트 관리 결과물을 모두 포함함.
* 예방(Prevention) vs 검사(Inspection)
- 예방 : 프로세스에서 오류를 막는 것
- 검사 : 산출물로부터 오류를 막는 것(주-the hands of the customer를 산출물이 아닐까.)
* Attribute sampling vs Variable sampling
- Attribute sampling : 결과가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
- Variable sampling : 결과가 충족되는지 정도를 측정 (연속변수, 계량화가능한 것)
* Special cause vs Random cause
- Special cause : 비정상적 사건
- Random cause : 정상적인 프로세스로부터의 편차
* 허용오차(Tolerances) vs 통제한도(Control limit)
- 허용오차 : 결과가 허용오차 범위내에 있으면 허용할 수 있음
- 통제한도 : 결과가 통제한도 범위내에 있으면 관리되고 있음
ⓐ Inputs
* 작업결과 : 프로세스 결과와 제품 결과. 계획되거나 예상되는 결과도 실제결과와 함께 이용가
능해야 함
* 품질관리계획 : 8.1의 Output
* 운영상의 정의 : 8.1의 Output
* 점검표 : 8.1의 Output
ⓑ Tools & Techniques
* 검사(Inspection) : 결과가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측정, 검사 등의 활동
검사는 모든 수준에서 수행될 수 있음 (예: 최종산출물, 특정 활동의 산출물)
Review, Product review, audit, walkthrough 등으로 불리움
* 관리도(Control Chart) : 프로세스가 통제한도 내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, 프로세스의 결과
를 시간에 대해 그래프형태로 보여줌. 프로세스가 통제한도 내에 있으면, 개선을 위해 변
경할 수는 있으나 반드시 조정해야 하는 것은 아님. 모든 종류의 출력변수에 대해 관리도
를 사용할 수 있음. 주로 생산량관리와 같은 반복적인 프로세스에 사용되나, 프로젝트 관
리 프로세스가 통제한도내에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원가/일정/범위변경의 규모와 빈도,
프로젝트 문서상의 결함 및 다른 관리프로세스의 결과물 등을 모니터링하는데도 사용됨
* 파레토 다이어그램(Pareto diagram) : 파악된 원인의 형태나 범주에 따라 어느 정도의 결과
를 일으키는지 보여주기 위해, 발생빈도 순으로 나타낸 히스토그램. 순위를 정하는 것은
시정조치를 가이드함. 가장 많은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부터 처리해야 함.
◎ 파레토법칙(80/20원리) : 문제의 80%는 원인의 20%에 기인함
* 통계적 샘플링 : 검사를 위해 관찰대상의 일부를 선택함. 품질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
* 흐름도 : 어떻게 문제가 발생했는지 분석하기 위해 사용됨
* 경향분석(Trend Analysis) : 과거결과를 기반으로 미래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수학적기법을
사용함. 경향분석은 다음 항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로 사용됨
- 기술적 성과 : 얼마나 많은 오류가 발견되었고, 얼마나 시정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가?
- 원가/일정 성과 : 얼마나 많은 활동이 중대한 편차를 지니고 완료되었는가?
ⓒ Outputs
* 품질개선
* 수락결정(Acceptance decision) : 검사된 항목에 대해 수락 또는 거부 결정이 이루어짐
* 재작업 : 결점이 있거나 조건에 맞지 않은 항목들을 요구사항 또는 명세에 부합하도록 만듦
예상되지 않은 재작업은 프로젝트 일정을 초과하게 만드는 중요한 원인임
* 완료된 점검표
* 프로세스 조정 : 품질통제 측정의 결과로써, 즉각적인 시정조치 또는 예방조치를 수행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