큐비트럭 - 블루투스 개발
페도라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올라오지 않아서 고생하다가 그냥 포기함..
그래서 그냥 디바이스 올라오는 데비안에서 개발 결정.
데비안 설치 요약
설치 후 가장 먼저
/etc/network/interface 에서 네트워크 설정 확인
/etc/apt/sources.list 수정
ftp.es.어쩌구 를 ftp.kr 로 변경
apt-get update
aptitude install -y vim (기본적으로 vim_tiny 만 설치되어 있어 vimrc 가 안먹힌다.)
이후에
aptitude install -y bluez libbluetooth-dev gcc (열라 오래 걸림. 의존성 쩌름)
/root/.vimrc 설정
그리고
/root/.bashrc 에서 alias 설정 확인 --color~ 풀어줘야 디렉토리랑 파일 색상 나옴
bluez 소스 컴파일 준비
소스 안 README를 보면 몇가지 패키지들이 필수로 설치되어 있어야한다.
./configure 해보면 없는 패키지가 나타난다.
2가지 패키지가 없어서 설치를 진행하였다.
libdbus-1-3
libdbus-1-dev
처음에 위에꺼 설치했더니 없다고 해서 dev 버전으로 설치해보니 확인이 되었다. 무조건 dev 버전으로 설치해야한다.
libdbus-glib-1-dev
이것도 그냥 닥치고 dev버전 설치.
make
make install
하면 끝.
디바이스 이름이 한글이 있어서 한글설정해야함.
페도라와 마찬가지로 ibus로 설정 가능하지만 의존성이 쩔음..열라 설치함..
그냥 간단하게 설정하는법
env | grep LANG 하면 본인 설정나옴
apt-get install -y locales
로케일 설치하고
dpkg-reconfigure locales
GUI메뉴 뜨면 en.US.UTF8 이랑 ko_KR,UTF8 선택
완료하면 주언어 선택물어보는데 ko_KR 선택하면 끝.
한글변환키 먹음ㅇㅇ
Putty 같은 터미널 사용 시 Translation 항목에서 UTF8로 설정해줘야함.
그리고 Appearance 메뉴에서 폰트를 돋음등의 한글폰트로 지정하고 스크립트를 반드시 한글로 설정해줘야함..
근데 SSH 터미널은 한글이 잘되는데 정작 실제 콘솔tty들은 죄다 한글이 깨짐 ;;;
알고보니 콘솔은 원래 한글 지원이 안된다고함. 그래서 jfbterm 설치하면 된다고 하는데 그냥 터미널에서 개발..
참고로 한글 설정은 /etc/profile 에서
export LANG=en_US.UTF-8
export LC_CTYPE=en_US.UTF-8
export LC_ALL=en_US.UTF-8
로 변경하면 영어로 나옴.
헉헉 뭐 개발하는거 보다 딴거하느라 시간다가네..